Image

Lv.3 🔗블록 이동하기

📝문제 요약

문제 설명

로봇개발자 “무지”는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카카오배 로봇경진대회”에 출품할 로봇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준비 중인 로봇은 2 x 1 크기의 로봇으로 “무지”는 “0”과 “1”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지도에서 2 x 1 크기인 로봇을 움직여 (N, N) 위치까지 이동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을 하려고 합니다. 로봇이 이동하는 지도는 가장 왼쪽, 상단의 좌표를 (1, 1)로 하며 지도 내에 표시된 숫자 “0”은 빈칸을 “1”은 벽을 나타냅니다. 로봇은 벽이 있는 칸 또는 지도 밖으로는 이동할 수 없습니다. 로봇은 처음에 아래 그림과 같이 좌표 (1, 1)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놓여있는 상태로 시작하며, 앞뒤 구분없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로봇이 움직일 때는 현재 놓여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한다면 (1, 2), (1, 3) 두 칸을 차지하게 되며, 아래로 이동한다면 (2, 1), (2, 2)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 어느 한 칸이라도 (N, N) 위치에 도착하면 됩니다.

로봇은 다음과 같이 조건에 따라 회전이 가능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로봇은 90도씩 회전할 수 있습니다. 단,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 어느 칸이든 축이 될 수 있지만, 회전하는 방향(축이 되는 칸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칸)에는 벽이 없어야 합니다. 로봇이 한 칸 이동하거나 90도 회전하는 데는 걸리는 시간은 정확히 1초 입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지도인 board가 주어질 때, 로봇이 (N, N)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의 한 변의 길이는 5 이상 100 이하입니다.
  • board의 원소는 0 또는 1입니다.
  • 로봇이 처음에 놓여 있는 칸 (1, 1), (1, 2)는 항상 0으로 주어집니다.
  • 로봇이 항상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board result
[[0, 0, 0, 1, 1],[0, 0, 0, 1, 0],[0, 1, 0, 1, 1],[1, 1, 0, 0, 1],[0, 0, 0, 0, 0]] 7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

로봇이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후, (1, 3) 칸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합니다. 다시, 아래쪽으로 3칸 이동하면 로봇은 (4, 3), (5, 3)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제 (5, 3)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면 (N, N)에 도착합니다. 따라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최소 7초가 걸립니다.


✏️문제 풀이

  •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필요한 변수 생성

      def solution(board):
      		# 보드의 크기
          n = len(board)
        		
      		# BFS 초기화
          queue = deque()         # BFS를 위한 큐
          visited = []            # 방문한 위치를 저장할 리스트
          pos = {(0, 0), (0, 1)}  # 로봇의 초기 위치 (두 부분의 좌표)
          queue.append((pos, 0))  # 시작 위치와 비용(0)을 큐에 추가
          visited.append(pos)     # 시작 위치를 방문 처리
    
  • BFS를 통해 탐색하며 도착지 도달 시 정답 반환

      while queue:
      		# 큐에서 현재 위치와 비용을 꺼냄
          pos, cost = queue.popleft()
        
          # 도착점 (n-1, n-1)에 도달했는지 확인 하여 도착하였다면 현재까지의 비용 반환
          if (n - 1, n - 1) in pos:
              return cost
    
    • 이동 가능한 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

        # 다음 위치 계산
        next_pos = []    # 다음에 이동할 수 있는 위치들을 저장할 리스트
        pos = list(pos)  # 집합을 리스트로 변환
              
        # 로봇의 두 부분의 좌표를 각각 저장
        (x1, y1), (x2, y2) = pos[0], pos[1]
              
        # 상, 하, 좌, 우 방향
        dx = [-1, 1, 0, 0]
        dy = [0, 0, -1, 1]
              
        # 상하좌우 이동 처리
        for i in range(4):
        		# 로봇의 두 부분 각각의 다음 위치 계산
            nx1, ny1 = x1 + dx[i], y1 + dy[i]
            nx2, ny2 = x2 + dx[i], y2 + dy[i]
                  
        		# 다음 위치가 보드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
            if 0 <= nx1 < n and 0 <= ny1 < n and 0 <= nx2 < n and 0 <= ny2 < n:
        		    # 다음 위치가 모두 이동 가능하다면 next_pos에 추가
                if board[nx1][ny1] == 0 and board[nx2][ny2] == 0:
                    next_pos.append({(nx1, ny1), (nx2, ny2)})
      
    • 회전이 가능한 경우, 회전한 위치도 next_pos에 추가

        # 가로 방향일 때
        if x1 == x2:  
        		# 위(-1) or 아래(1)로 회전
            for i in [-1, 1]:  
        		    # 회전 가능한지 확인
                if 0 <= x1 + i < n and 0 <= x2 + i < n:
        		        # 회전 시 필요한 공간이 비어있는지 확인
                    if board[x1 + i][y1] == 0 and board[x2 + i][y2] == 0:
                        next_pos.append({(x1, y1), (x1 + i, y1)})  # 첫 번째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
                        next_pos.append({(x2, y2), (x2 + i, y2)})  # 두 번째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
              
        # 세로 방향일 때
        elif y1 == y2:
        		# 왼쪽(-1) or 오른쪽(1)으로 회전
            for i in [-1, 1]:  
        		    # 회전 가능한지 확인
                if 0 <= y1 + i < n and 0 <= y2 + i < n:
        		        # 회전 시 필요한 공간이 비어있는지 확인
                    if board[x1][y1 + i] == 0 and board[x2][y2 + i] == 0:
                        next_pos.append({(x1, y1), (x1, y1 + i)})  # 첫 번째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
                        next_pos.append({(x2, y2), (x2, y2 + i)})  # 두 번째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
      
    • 이동할 수 있는 위치 중 아직 방문하지 않은 곳만 큐에 추가

        # 다음 위치들에 대해 BFS 진행
        for next_p in next_pos:
        		# 아직 방문하지 않은 위치라면 큐에 추가하고 방문 처리
            if next_p not in visited:
                queue.append((next_p, cost + 1))
                visited.append(next_p)
      
    • 도착하지 못했을 경우 0을 반환

        return 0
      


💯제출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board):
    n = len(board)

    queue = deque()
    visited = []
    pos = {(0, 0), (0, 1)}
    queue.append((pos, 0))
    visited.append(pos)
    
    while queue:
        pos, cost = queue.popleft()
        if (n-1, n-1) in pos:
            return cost
        
        next_pos = []
        pos = list(pos)
        pos1_x, pos1_y, pos2_x, pos2_y = pos[0][0], pos[0][1], pos[1][0], pos[1][1]
        
        dx = [-1, 1, 0, 0]
        dy = [0, 0, -1, 1]
        
        for i in range(4):
            pos1_next_x, pos1_next_y = pos1_x + dx[i], pos1_y + dy[i]
            pos2_next_x, pos2_next_y = pos2_x + dx[i], pos2_y + dy[i]
            
            if 0 <= pos1_next_x < n and 0 <= pos1_next_y < n and 0 <= pos2_next_x < n and 0 <= pos2_next_y < n:
                if board[pos1_next_x][pos1_next_y] == 0 and board[pos2_next_x][pos2_next_y] == 0:
                    next_pos.append({(pos1_next_x, pos1_next_y), (pos2_next_x, pos2_next_y)})
        
        if pos1_x == pos2_x:
            for i in [-1, 1]:
                if 0 <= pos1_x + i < n and 0 <= pos2_x + i < n:
                    if board[pos1_x + i][pos1_y] == 0 and board[pos2_x + i][pos2_y] == 0:
                        next_pos.append({(pos1_x, pos1_y), (pos1_x + i, pos1_y)})
                        next_pos.append({(pos2_x, pos2_y), (pos2_x + i, pos2_y)})
        else:
            for i in [-1, 1]:
                if 0 <= pos1_y + i < n and 0 <= pos2_y + i < n:
                    if board[pos1_x][pos1_y + i] == 0 and board[pos2_x][pos2_y + i] == 0:
                        next_pos.append({(pos1_x, pos1_y), (pos1_x, pos1_y + i)})
                        next_pos.append({(pos2_x, pos2_y), (pos2_x, pos2_y + i)})
        
        for next_pos in next_pos:
            if next_pos not in visited:
                queue.append((next_pos, cost + 1))
                visited.append(next_pos)
    
    return 0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