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Gold Ⅴ 🔗2212. 센서

📝문제 요약

문제 설명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의 유비쿼터스화를 위해 고속도로 위에 N개의 센서를 설치하였다. 문제는 이 센서들이 수집한 자료들을 모으고 분석할 몇 개의 집중국을 세우는 일인데, 예산상의 문제로, 고속도로 위에 최대 K개의 집중국을 세울 수 있다고 한다.

각 집중국은 센서의 수신 가능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은 고속도로 상에서 연결된 구간으로 나타나게 된다. N개의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집중국과는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집중국의 유지비 문제로 인해 각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의 길이의 합을 최소화해야 한다.

편의를 위해 고속도로는 평면상의 직선이라고 가정하고, 센서들은 이 직선 위의 한 기점인 원점으로부터의 정수 거리의 위치에 놓여 있다고 하자. 따라서, 각 센서의 좌표는 정수 하나로 표현된다. 이 상황에서 각 집중국의 수신 가능영역의 거리의 합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집중국의 수신 가능영역의 길이는 0 이상이며 모든 센서의 좌표가 다를 필요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센서의 개수 N(1 ≤ N ≤ 10,000), 둘째 줄에 집중국의 개수 K(1 ≤ K ≤ 1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N개의 센서의 좌표가 한 개의 정수로 N개 주어진다. 각 좌표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 있으며, 좌표의 절댓값은 1,00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에서 설명한 최대 K개의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의 길이의 합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문제 풀이

  • 센서의 개수(n), 집중국의 개수(k )를 입력 받음
  • n개의 센서의 좌표를 리스트로 오름차순 정렬하여 저장
  • 각 센서의 거리를 저장할 dist 리스트 초기화
  • 1부터 n까지 확인하면서 거리를 측정
    • x[i] - x[i-1] : 현재에서 그 전의 위치를 빼서 거리를 계산
  • 거리 오름차순 정렬
  • 최소 거리 합을 출력
    • 붙어있는 센서의 합 : n-1
    • k개의 집중국으로 나누어야 하므로 k-1
    • 사용되는 거리의 개수는 : (n-1) - (k-1) = n-k

코드와 함께 보는 풀이

# 센서의 개수를 입력
n = int(input())
# 집중국의 개수를 입력
k = int(input())
# n개의 센서의 좌표를 입력받아 리스트로 오름차순 정렬하여 저장
x = sorted(list(map(int, input().split())))

# 각 센서의 거리를 저장할 dist 리스트 초기화
dist = []

# 1부터 n까지 센서를 확인하면서 거리를 측정
for i in range(1, n) :
		# 현재에서 그 전의 위치를 빼서 거리를 계산
    dist.append(x[i] - x[i-1])

# 거리 오름차순 정렬
dist.sort()

# n-k까지의 합을 출력
print(sum(dist[:n-k]))


💯제출 코드

n = int(input())
k = int(input())
x = sorted(list(map(int, input().split())))

dist = []

for i in range(1, n) :
    dist.append(x[i] - x[i-1])

dist.sort()

print(sum(dist[:n-k]))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