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자열(String)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

      "Life is to short, Youn need Python"
      "a"
      "123"
    
  • 큰따옴표(”)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 → 숫자의 경우에도 따옴표로 둘러쌓여져 있다면 문자열!


문자열 사용법

  1. 큰따옴표로 양쪽을 둘러싸기

     "Hello World"
    
  2. 작은따옴표로 양쪽을 둘러싸기

     'Python is fun'
    
  3.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4.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문자열 안에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포함

  • 문자열을 만들는 방법에는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가 있음
  • 그런데 문자열 안에도 작은따옴표 혹은 큰따옴표가 포함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음

1.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 포함

  • 문자열 중 작은따옴표가 포함되어 있다면 큰따옴표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생성
  • 큰따옴표 안에 있는 작은따옴표는 문자열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인식되지 않음!

      food =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print(food)  #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 만약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와 같이 사용한다면 'Python' 만 문자열로 인식되어 구문 오류(SyntaxError) 발생

        File "<stdin>", line 1
          a =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
      SyntaxError: invalid syntax
    

2. 문자열에 큰따옴표 포함

  • 큰따옴표가 포함된 문자열이라면 작은따옴표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생성

      say = '"Python is very esay." he says.'
    

3. 역슬래시를 사용하여 포함하기

  •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문자열에 포함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역슬래시(\)를 사용하는 것
  • 역슬래시를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 앞에 삽입하면 역슬래시 뒤의 작은따옴표나 큰 따옴표는문자열을 둘러싼는 기호의 의미가 아니고 그 자체를 뜻하게 됨

      food = 'Python\'s favorite food is perl'
      say = "\"Python is very esay.\" he says."
    


여러 줄인 문자열을 변수에 대입

  • 문자열은 항상 한 줄만 있는 것은 아님!

1. 줄을 바꾸기 위한 이스케이프 코드 \n 삽입

muliline = "Life is too short\nYou need python"
  • 줄바꿈 문자 \n 을 삽입하는 방법이 있지만, 읽기가 불편하고 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음

2. 연속된 작은따옴표 3개 또는 큰따옴표 3개 사용

  • 1번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파이썬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은따옴표 3개(''') 또는 큰따옴표 3개(""")를 사용

      multiline =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multiline =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print(multiline)
      # Life is too short 
      # You need python
        
    


이스케이프 코드란?

  • 이스케이프(escape) 코드란 프로그래밍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해 둔 ‘문자 조합’을 말함
  • 주로 출력물을 보기 좋게 정렬하는 용도로 사용

| 코드 | 설명 | | — | — | | \n |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 | \t |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 \\ |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 \' | 작은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 \" | 큰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 \r | 캐리지 리턴(줄 바꿈 문자, 커서를 현재 줄의 가장 앞으로 이동) | | \f | 폼 피드(줄 바꿈 문자, 커서를 현재 줄의 다음 줄로 이동) | | \a | 벨 소리(출력할 때 PC 스피커에서 ‘삑’ 소리가 남) | | \b | 백 스페이스 | | \000 | 널 문자 |

  • 이 중에서도 활용 빈도가 높은 것은 \n , \t , \\, \' ,\" . 나머지는 프로그램에서 잘 사용하지 않음


문자열의 연산

  •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더하거나 곱할 수 있음

문자열 더하기 : 연결

head = "Python"
tail = " is fun"

print(head + tail)  # Python is fun
  • 눈에 보이는 대로 head 변수와 tail 변수가 +에 의해 합쳐짐

문자열 곱하기 : 반복

a = "Python"

print(a * 2)  # PythonPython
  • * 의 의미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숫자의 곱하기의 의미와는 다름
  • 위 소스 코드에서 a * 2 의 의미는 a를 2번 반복하라는 뜻
  • 즉, * 는 문자열의 반복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

문자열 길이 구하기

  • 문자열의 길이는 len 함수를 사용하면 구할 수 있으며, 문자열 길이에는 공백 문자도 포함(len : length)

      a = "Life is too short"
        
      print(len(a))  # 17
    
  • len 함수는 print 함수처럼 파이썬의 기본 내장 함수로, 별다른 설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음

댓글남기기